경쟁사는 숏폼으로 제품 완판 했다는데요? 숏폼, 이제 ‘구매 채널’이 되다

숏폼은 이제 단순 노출이 아니라 매출이 일어나는 판매 채널입니다. 지금 브랜드가 숏폼 전략을 다시 설계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했습니다.
경쟁사는 숏폼으로 제품 완판 했다는데요? 숏폼, 이제 ‘구매 채널’이 되다



숏폼이, 이제 고객들의 새로운 ‘구매 채널’이 되었습니다.
고객들이 이제는 숏폼에서도 쇼핑을 한다는 말이죠.

이제는 셀러들이 경쟁하는 건 조회수가 아니라 매출입니다.
즉 숏폼은 더 이상 ‘짧은 재미의 영상' 정도가 아니라는 이야기 입니다.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주요 플랫폼들이 ‘숏폼 쇼핑 기능 강화’에 집중하면서,
이제 숏폼은 브랜드의 핵심 매출 채널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숏폼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거나,잠재고객에게 노출을 늘리기 위한 콘텐츠로 활용됐는데요.

하지만 2025년 이후, 숏폼은 광고 → 콘텐츠 → 구매로 이어지는 완전한 커머스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이 변화는 단순히 ‘영상에 링크가 생겼다’는 수준이 아닙니다.

이제 플랫폼과 소비자, 그리고 브랜드의 구조 자체가 바뀌고 있다는 것이죠.


1. 플랫폼의 전략 변화: “콘텐츠에서 결제까지 한 번에”

틱톡은 ‘TikTok Shop’을 중심으로 쇼핑 기능을 대대적으로 개편하면서,
사용자가 영상 안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는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ccfm 숏폼
미국의 틱톡샵 서비스 화면 /출처: 틱톡



기존에는 영상을 본 뒤 링크를 타고 외부 쇼핑몰로 이동해야 했지만,
이제는 앱 안에서 상품 탐색 → 옵션 선택 → 결제까지 모두 가능해졌어요.
 

틱톡의 핵심 전략은 ‘쇼핑을 콘텐츠화’하는 것입니다.

기존 커머스 플랫폼이 제품 정보를 중심으로 설계됐다면, 틱톡은 ‘스토리 기반의 구매 경험’을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을 소개하는 크리에이터의 영상이 단순한 광고가 아니라 하나의 ‘콘텐츠’처럼 소비되는 거예요.

코리아 - US 크로스보더 서비스로 한국 법인만으로 미국 틱톡샵 입점이 가능하다고 하니 가이드를 보고 시장을 발빠르게 선점하면 좋겠네요!

ccfm 숏폼
코리아 - US 크로스보더 가이드 / 출처: 틱톡



인스타그램 역시 릴스(Reels)에서 상품 태그 + 인앱 결제 기능을 확장했습니다.



특히 메타는 ‘크리에이터 커머스’를 공식화하며,크리에이터가 자신의 릴스 콘텐츠에 직접 상품을 연결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이는 곧 브랜드 입장에서 “크리에이터 = 판매 파트너”가 되는 구조입니다.



또한 모든 산업에서 인스타그램 게시물의 평균 참여율은 약 4.59%로 나타납니다.
숫자만 보면 낮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페이스북의 10배, X(구 트위터)의 20배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참여율이에요.

게다가 DM, 연락처 버튼, 댓글, 스토리 기능을 활용하면 고객과 보다 직접적이고 친밀한 소통도 가능해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ccfm 숏폼
인스타그램 쇼핑 게시물과 쇼핑 스토리 / 출처 : 아임웹

유튜브는 쇼츠(Shorts)에는 ‘YouTube Shopping’을 연동했습니다.

리뷰 영상이나 언박싱 콘텐츠 안에서 제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도록
영상 하단에 가격, 링크, 제품 썸네일을 함께 노출하는 기능을 강화했어요.

유튜브는 원래 신뢰 기반의 콘텐츠 소비가 강한 플랫폼이기 때문에,
이 기능은 특히 고관여 제품군에서 높은 전환력을 보여줍니다.

ccfm 숏폼
ccfm 숏폼

출처: 왼쪽(jeon_unni / 유튜브), 오른쪽(Repaet_Again / 유튜브)



결국 세 플랫폼의 방향은 모두 같습니다.
‘광고 → 유입 → 구매’의 단계를 최소화하고,
영상 안에서 바로 구매가 일어나는 구조로 옮겨가고 있는 것입니다.


2. 소비자 행동의 전환: “검색보다 숏폼으로 탐색한다”

이제 소비자는 네이버보다 틱톡·인스타그램에서 제품을 먼저 찾습니다.
특히 10~30대에게 숏폼은 새로운 ‘검색 엔진’이 되었죠.

‘#tiktokmademebuyit’ 해시태그는 2025년 기준 조회수 1,200억 회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소비 패턴이 ‘검색형’에서 ‘발견형’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줍니다.

이제 소비자는 직접 찾지 않아도, 알고리즘이 ‘원할 만한 상품’을 먼저 보여주고
흥미나 신뢰가 생기면 곧바로 구매로 이어집니다.

ccfm 숏폼
출처: 패스트캠퍼스 sns

3. 브랜드 전략의 변화: “숏폼은 도달이 아닌 전환의 수단”

이제 브랜드가 숏폼을 운영하는 방식도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숏폼이 인지도 확장용 콘텐츠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전환 퍼널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어요.
브랜드들이 실제로 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세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크리에이터 협업 강화

브랜드가 직접 숏폼을 만드는 대신,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안에서 자연스럽게 제품을 노출시키는 방식입니다.

단순 협찬이 아니라, 크리에이터가 제품을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녹여내는 형태가 많아요.

덕분에 광고로 인식되지 않아 소비자 반응률이 높습니다.

ccfm 숏폼 마케팅
출처: 숏폼 리뷰형 플랫폼 '순샵'



2. 쇼핑 링크 최적화
영상 내 CTA 버튼, 상품 태그, 하단 링크까지 모두 쇼핑 퍼널로 연결되도록 세팅합니다.
특히 ‘제품 상세 → 결제 페이지’로 바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추면,이탈률이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콘텐츠 데이터 기반 운영
조회수나 좋아요보다 전환율 중심의 KPI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클릭률, 구매 완료율, 시청 유지율 등을 기준으로 콘텐츠 성과를 분석하고 다음 캠페인을 최적화하는 방식이에요.

이 전략을 제대로 적용한 브랜드들은 숏폼 하나로 단일 영상 매출 수천만 원을 달성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ccfm 숏폼 레퍼런스
ccfm 숏폼 제작 레퍼런스

↑위 이미지를 Click 하면 CCFM 숏폼 레퍼런스 확인 가능합니다↑


4. 숏폼 커머스의 핵심: 알고리즘과 퍼포먼스의 결합

숏폼의 본질은 ‘노출’이 아닌 ‘추천’입니다.
플랫폼은 시청 패턴·체류 시간·클릭률 등을 분석해 구매 가능성이 높은 영상을 더 넓게 퍼뜨립니다.

따라서 성공은 영상 퀄리티보다 ‘알고리즘 친화적 기획’에 달려 있습니다.
초반 3초 안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USP를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감정 흐름이 있는 내러티브를 구성해야 합니다.

여기에 제품 태그·결제 유도 포인트·자막 등 전환 UI 요소를 더하면 전환율을 극대화할 수 있죠.

결국 숏폼 커머스의 경쟁력은 조회수가 아니라, 알고리즘이 선호하는 전환형 콘텐츠 설계력입니다.

CCFM 숏폼 콘텐츠 메뉴판

숏폼, 지금이 ‘전환’을 설계할 때다

숏폼은 더 이상 브랜드 인지도 확장을 위한 부가 채널이 아닙니다.

플랫폼의 전략, 소비자의 구매 행동, 브랜드의 운영 방식이 모두 변화하면서 ‘콘텐츠 → 구매’가 하나로 이어지는 완전한 커머스 생태계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브랜드는 콘텐츠 기획부터 퍼널 설계, 성과 측정까지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 지금, 브랜드의 숏폼 전략을 ‘판매 채널’ 중심으로 다시 설계해보세요.

매출 상승하는 숏폼 제작 문의하기 Click



Share article

콘크리트파머스(CCFM) 공식 블로그